윈도우즈에서 환경화일안에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다음의 두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나는 윈도우즈 자체의 환경화일안에 저장하는 방법과 또 하나는 자체
환경화일하나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용방법은 거의 동일하므로
뒤에 나오는 자체 환경화일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GetPrivateProfileString('Question_Client','ServerIP','000.000.000.000',
TmpStr,20,'ClientInfo.Ini');
위와 같이 하였을 경우에 환경화일의 이름은 'ClientInfo.Ini' 이 되고 ,
구분기호로써 'Question_Client' 이 사용되며 , 'ServerIP' 가 정보를 담당
하는 음... 뭐라고 해야하나 ... 이 됩니다. 일종의 변수라고 할수 있죠..
위와같이 명령을 수행할경우 TmpStr 이라는 변수로 환경화일 안에 있는
ServerIP 로 설정되어 있는 값이 저장되게 됩니다.
이때 '000.000.000.000' 은 default 값으로써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설정
되는 값입니다.
그럼...
WritePrivateProfileString('Question_Client','ServerIP',TmpStr,
'ClientInfo.Ini');
위에는것은 저장하는 함수이죠...
다만 default 값이 없을뿐이고 함수명 앞에 Write 로 바뀌는것만이...
그리고 Private 가 빠지면... 윈도우즈의 자체 환경화일에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맨끝의 환경화일 이름을 빼야겠죠...
그럼... 도움이 되시기를 ...
~도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