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켓서버가 공유기 하단에 설치 된 경우 DMZ, 포트포워딩 등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포트포워딩으로 해결이 안된다면 소켓서버 프로그램 또는 해당 OS 방화벽 설정이 문제겠네요.
1. 당연히 OS의 방화벽 해제하여야 하며
2. 해제가 불가능한경우 다음의 조건을 예외처리 해야합니다.
1) 1433포트 IN-BOUND에 대해 예외
2) 또는 해당 프로그램 선택으로 예외
3. 마지막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소켓서버가 바인딩하는 IP를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MSSQL의 경우 TCP/IP설정에 해당 랜카드의 IP(192.168.10.4)가 바인딩에서 빠진다면 외부에서 절대 접속할 수 없습니다.
4. 그리고 항상 telnet같은것으로 포트에 대한 접속 테스트를 하시면 어디서 막혔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정석 님이 쓰신 글 :
: 한상원님, 시간이 많이 흘렀군요. 해결 방법에 대해서 여쭈어 보고 싶어서요. 공유기 하단에 사설 아이피를 부여 받은 DB서버에 어떻게 접근을 하셨는지요? 공유기의 DMZ을 설정해서 접속을 하셨나요? 아니면 공유기의 DDNS를 설정하고 포트포워딩을 하셨나요?
: 그도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었나요? 저는 디비에 접속을 하는것은 아니지만 C/S 프로그램(웹 프로그램이 아닙니다)의 서버는 공유기의 하단에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상태이고 외부의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을 해야 하는데 DMZ설정도 포트포워딩도 되질 않아서 질문 드려 봅니다.
: 같은 내용을 이미 경험 하신 모든분들의 고언을 부탁 드립니다.
:
: 수고하십시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