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phi Programming Forum
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델파이 포럼
Q & A
FAQ
팁&트릭
강좌/문서
자료실
컴포넌트/라이브러리
FreePascal/Lazarus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델마당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델파이 Q&A
Delphi Programming Q&A
[15011] Re:Re:[질문] DataSnap 성능 및 안정성
cdrd [] 3356 읽음    2014-03-03 11:41
많은분들의 우려가 있지만 DataSnap이 그정도로 써먹지 못할 정도는 아닌것 같아서 모험이 될지 모르겠지만
가능하면 앞으로 시작하는 프로젝트는 DataSnap으로 진행하려고 이와 같은 질문을 드렸습니다.

이전에 RemObjects를 사용하려고 하다가 예제도 부족하고,
컴포넌트에 접근하기가 어려워서 중간에 포기하였습니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모바일 개발시에도 DataSnap을 미들웨어로 사용하는것 같은데요..
엠바카데로에서도 어느정도 성능이나 안정성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DataSnap을 미들웨어로 제공하는거라 봅니다.

kbmMW vs DataSnap의 성능 비교 기대됩니다.
civilian 님 제가 궁금하던 부분을 제대로 설명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civilian 님이 쓰신 글 :
: 1.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싱에 드는 비용 정도는 부담없다.
: 2. 프로그램을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한다.
:
: 이런 조건이라면 2Tier 방식의 개발이 가장 쉽고 빠릅니다.
:
: 국내에서 MIDAS, DataSnap을 얼마나 많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지는 알 방법이 없습니다.
: 다만, SI 분야에선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
: 델파이로 만든 멀티티어 엔진은
: DataSnap (델파이 기본)
: kbmMW (상용)
: RemObject (상용),
: RealThin Client (상용)
: mORMot (오픈소스)
: MVC FrameWork (오픈소스)
:
: 정도를 들 수 있겠습니다.
: 각각 구현하는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내용도 크게 다르지 않고 성능이나 안정성 등도 고만고만합니다.
:
: 멀티티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
: 미들웨어 성능 및 안정성
: 개발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
: 검토해야 하는 사항이 많겠지만, 위 두가지를 주 체크 포인트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
: 데이터스냅이 "심각한 쓰레기 수준"이라 혹평하는 분들도 있지만,
: 제 경우엔 kbmMW, RealThin Client. RemObject. mORMot, MVC FrameWork 등을 모두 검토한 후
: 현재는 DataSnap 을 주력 미들웨어로 채용하고 있고, 이것을 기반으로 꽤 여러 기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 (물론 DataSnap을 여러군데 커스터마이징 해서 쓰고 있긴 합니다)
:
: 내부 소스를 찬찬히 들여다보면 각 제품들이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
: DataSnap의 타 제품 대비 단점은
:
: > JSON 프로토콜에 기반하고 있고(델파이의 JSON 엔진의 성능이 그닥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 > 윈도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과 안드로이드, 아이폰, 맥등 다양한 OS를 지원하기 위해 최적화가 부족
: > RTTI 를 내부적으로 많이 사용함
: > 대량 접속이 발생하는 경우 Thread per Connect 기반인 Indy Socket에 의한 컨텍스트 스위칭 문제
: > DataSnap 부분의 커스터마이징이 까다롭다
:
: 장점은
: > 델파이의 기본 라이브러리라 버전업시 유리하다
: > Life Cycle에 따라 서비스의 구성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 > Session 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 > DataBase Operation 이외의 서버 메소드 호출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 > 파일, 스트림 전송을 쉽게 구현가능
: > CallBack 적용이 가능
:
: 어떤 미들웨어를 사용하든지간에 동접 200명 수준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단순히 "hello, world"를 1초에 몇번이나 응답해줄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테스트는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 실제 업무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케이스를 가지고 측정해야 정확한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
: 그리고 대부분의 작업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게 미들웨어의 특성인지라
: 성능이 좋은 데이터베이스 컴포넌트의 사용은 필수입니다.
:
: 제 경우 모 사이트에서 동접 200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 또다른 사이트는 동접 1,000 정도의 시스템을 구축중입니다.
:
: 조만간 kbmMW vs DataSnap의 성능 비교 결과를 올려보지요.
:
: cdrd 님이 쓰신 글 :
: : 3티어 환경으로 개발시 클라이언트는 총500 유저, 동시접속은 200 유저 정도라면
: : XE3 이상 DataSnap 환경으로 개발하여 운영한다면 무리는 없을까요?
: : 요즘 DataSnap에 대한 성능 및 안정성에 대한 글이 올라오는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
: : 그냥 예전처럼 C/S로 돌아가야하는지..
: : 실제 DataSnap 이나 Midas 환경으로 구축하여 운영중인 사이트는 국내/국외 어느곳이 있을까요?

+ -

관련 글 리스트
15009 [질문] DataSnap 성능 및 안정성 cdrd 2102 2014/03/03
15010     Re:[질문] DataSnap 성능 및 안정성 civilian 3633 2014/03/03
15011         Re:Re:[질문] DataSnap 성능 및 안정성 cdrd 3356 2014/03/03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