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파지토리를 쓴 것이 아니고, 폼 자체를 IDE에 등록하고 또 역시 IDE에 등록시킨 일종의 플러그인(위저드)로 제가 만든 화면들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화면이 생성되도록 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제가 만든 프로그램 모듈이 델파이의 기능을 확장하여 저만의 개발 환경을 만든 것입니다.
이런 기능이 델파이/C++빌더의 Open Tools API이고, 요즘은 다른 개발툴들에서도 이런 플러그인 기능들을 지원하지만(특히 이클립스의 경우가 많이 알려져 있죠) 사실 IDE 플러그인 기능은 델파이에서부터 도입되어 발전된 것이고 지금도 가장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이걸 리파지토리라고 기억을 하시는 것을 보니... 제가 강의를 한참 잘못했습니다... 꽈당...
며칠 내로 소스를 정리해서 올릴 텐데, 기억이 캄캄하시니 아무래도 소스를 보셔도 큰 도움이 안되지 않을까 싶네요.
어떡하죠...?
용이... 님이 쓰신 글 :
: 지난 토요일에 세미나 잘 들었습니다..
: 유익한 세미나를 만들어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 말씀드립니다.
:
: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 기존에 폼을 레파지토리에 넣어서 작업을 하는것은 알겠는데...
: 레파지토리에 새로 등록한 폼을 꺼낼때 보니까...위저드 같은것이 하나 뜨던데...그건 어떻게 하면 되는건지요?
: (화면 ID, 개발자명, 날짜, 버전 등등...이런것들이 있었던거 같은데...)
:
: 저도 회사에서 그것을 적용해 보고 싶은데
: 방법을 공개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 (구체적으로 좀 자세히...예제 소스같은거 주셔도 좋구요....)
:
: 몇해 전 세미나 때도 ImpGrid 소스 빨리 올려달라고 재촉해서 한번 귀찮게 해드렸는데...
: 또 한번 귀찮게 해서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