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좋은생각입니다.
전에 한번 본것 같은데...음...
먼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현재 Notification 과 FreeNotication는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컴포넌트와 같이 연동해서 돌아갈 경우 거의 필수인 개념이죠..
이는 언급했다시피 다른 객체를 참조하는 래퍼가 있을 경우, 그객체가
해제시 일어날 오류를 피하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제가 격었던 그 문제은 그와 약간은 다른 상황이기에...양방향
포인터가 훨씬 작업이 편했습니다.
현재 제가 하고 있는 작업은 쉽게 비유하자면 하나의 DataControl에서
두개의 DataSource를 지정을 해서 두개의 Table를 동시에 접근이 가능케하는 작업인데요.
두개 table의 내용이 대형 호스트와 통신을 하기 위해 보낼때 사용하는 Table
받을 때 사용하는 Table를 각각 지정할 수 있고 이를 가능 케하기 위해
Record단위로 패킷형태로 만들어져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거죠...
즉 Socket이든 에뮬레이터를 통한 LU2방식이든 D0방식이든 상관이 없이
오직 Table과 같은 데이터 포멧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든 데이타 표현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함인데...암튼
TDataSet과 TTField, TDataSource 그리고 DataControl과 DataSource들간의
연결을 구성하는 TFieldDataLink구조 역시 양방향 포인터를 쓰고 있습니다.
암튼 이부분은 그럭저럭 해결한것 같은데...
이걸 고치다 또 다른 버그를 만들은 것같은데...하하..정말 미치겠군요...
정말 버그가 버그를 낳는다는 말이..음...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이걸 ActiveX로 전환을 해야하기에 소스관리 버전관리
를 생각 해볼대 ActiveX전환시 부딪힐 형태의 구조는 배제하고 있는 실정이라
참 제약이 많아 더 어려움이 있군요
다시한번더 답변에 감사합니다...
정말 도움이 많이 될것 같은데요...
그럼 많은 발전 있으시길...
꿈을 가진 소년 /좋/은/생/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