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object를 이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DBGrid1 / DBGrid2 / ListView1 이 폼에 있다고 했을 때..
DBGrid1 / DGGrid2 -> ListView1 로 드래그를 한다고 가정하면,
마우스로 드래그를 시작하면
OnDragStart -> OnDragOver -> OnDragDrop -> OnEndDrag
라는 과정을 거침니다..
OnDragStart (DBGrid) 에서 무엇을 드래그 하는지 전역변수에 저장하구서요..
OnDragOver (Form / 다른 콘트롤) 에서는 드래그 되는 곳인지 나타낼 수 있구요..
- Accept 변수 이용.. (드래그 커서를 어떻게 보여 줄 것인가를 결정하죠..)
OnDragDrop (ListView) 에서는 드래그 되는 소스를 알아서 그때 처리를 해도 되고
또는 전역변수의 내용을 담아도 되겠죠..
Sender - 나의 Object (당연히 ListView 겠죠 ^^)
Source - 보내온 Object (이것을 사용하면 됩니다. - Cast 연산자 사용)
is 연산자를 사용해도 됩니다.
예제는 없어도 쉽게 할수 있을 겁니다.
그럼..
|